AWS 아마존 웹서비스 입문하기

     




서버로 사용중이던 NAS가 인터넷과 장소문제로..(학교 연구실에 있었는데..) 관리가 잘 안되서 AWS를 써보기로 했다. 물론 AWS는 유료지만, 1년 무료이기 때문에 한번 써보고 요금이 어떻게 측정이 되는지 파악후, 집에서 그냥 NAS를 돌릴지, 아니면 aws를 유료로 사용할 지 고민하기로 했다.


주변에서 하도 AWS, AWS하길래 '엄청 쉬운가보다~' 했는데 막상 해보니 아닌것 같다. 그래서 나중에 까먹을 것을 대비해 포스팅 해두기로 했다.




회원가입 절차는 생략하고,(생각보다 복잡하지만,,,,) 로그인을 하면 위 화면같은 aws management console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해서 구동할 수 있는 듯 하다. 뭐 각자 독립된 서비스 들이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가장 왼쪽 위에 있는 EC2를 사용해 모든 것을 돌리는 것 같다. EC2는 가상의 서버를 만들고 동작시키는 OS를 설정해 마치 서버컴퓨터가 있는 것 처럼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EC2에 있는 OS를 통해 다른 모든 서비스를 설치해서 실행 할 수 있다는 점이다. 


EC2를 선택하면 여러가지 OS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데, 대부분 Ubuntu를 선택하는 것 같다. 하지만 나는 회사에서 사용중인 서버인 RedHat Linux를 설치하기로 했다. 뭐 조금은 익숙한게 좋고, 회사 업무에도 도움이 될 수 있으니까...





이래저래 기본 설정이 끝나면 만든 OS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는 인스턴스라는 말을 쓰는데, 한계정으로 여러 인스턴스를 만들어 구동할 수 있는 것 같다. 하지만 AWS를 1년 무료로 사용하려면 두개 이상의 인스턴스를 구동하면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왜냐하면 한달에 750시간 사용이 무료인데, 이는 하나의 인스턴스를 24시간 돌리면서 30일이 지났을 때의 시간이다. 뭐 여러 인스턴스를 쪼금씩 돌린다면 요금이 부과되지 않을 수 도 있다. 


만들다보면 한가지 특이한 것을 묻는데, 바롤 키 페어이다.




아마 누군가가 서버에 붙으려고 할 때 필요한 인증서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나중에 키페어 파일을 쓰니까 저장된 위치를 잘 기억해야 한다.




이제 인스턴스를 만들면 내 서버가 실행중인것을 볼 수 있다!!!



자 이제 서버를 만들었으니 서버에 붙어봅시다. 일반적으로 서버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 그냥 서버에 앉아서 서버셋팅을 했었는데,, 이렇게 가상의 서버를 사용해야하니 서버에 접속하는 프로그램이 있어야 합니다. 리눅스의 경우 SSH접속을 하게 되는데 명령프롬프트창과 비슷한 커널형태의 프로그램으로 서버에 접속합니다. aws에서는 putty를 사용하더라구요. 


https://bitbucket.org/daybreaker/iputty/downloads 


자 이제 푸티라는 것을 다운 받고 접속해 봅시다.


일단 아까 만든 키를 이용해 개인키를 만들어야 합니다. 다운받은 푸티에서 puttygen을 실행해서 아까 만든 키파일을 읽어옵시다.




Load를 통해 읽어오면 개인키가 만들어집니다!! (아마 ppk파일만 보이고 pem은 안보입니다. Load를 누르고 전체파일 보기를 눌러야 선택가능!)


그 다음 저장을 눌러서 키를 저장합시다.





이제 접속하기위한 설정을 몇개해야합니다. putty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config설정 창이 뜹니다.




IP주소는 내 서버의 공인 IP를 씁니다. SSH접속이기 때문에 포트는 22번!




처음 들어가면 위와같은 창이 뜨고 로그인하라고 합니다.


응..? 내 계정이 뭐지..?

뭔지 몰라서 root를 치니까 ec2-user로 접속하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ec2-user로 접속했더니




아무것도 없는 리눅스가... 음.. 원래 시스템폴더도 안보이나요..?ㅎㅎ

회사꺼랑 마이 다르네....


아무튼 이제 접속까지 마치고 다음엔 하나하나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